하루 한 줄 응원

좋은 인상을 남기고 싶다면, 그 사람과 헤어질 때 아쉬움을 표현하면서 천천히 일어나 한 번 더 정중하게 인사를 전하라. 그리하면 상대는 호감을 갖고 다음 만남을 즐겁게 기다릴 것이다.

Technology

기술과 Solution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합니다.

특허 자료실

2025년 특허청 예산 7,058억 원 확정... AI 기반 심사·특허 빅데이터·수출기업 지원 강화

관리자 | 2024-12-27 | 조회 69

2025년 특허청 예산이 올해 대비 41억 원 증가한 7,058억 원으로 확정됐다. 특허청은 이를 통해 지식재산 창출·보호·활용을 위한 주요 사업에 3,653억 원을 투자할 계획이며, 전년 대비 6억 원 증가한 규모다. 특히, AI와 특허 빅데이터를 활용한 지능형 특허행정 구현과 수출기업 지원을 강화하는 데 초점을 맞췄다.

 

내년도 특허청은 ▲AI 기반 고품질 심사 서비스 제공, ▲특허 빅데이터 활용 강화,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 및 창업·성장 지원, ▲수출기업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 역량 강화를 주요 투자 분야로 선정했다.

 

AI 기반 고품질 심사 서비스 제공 분야에서는 28억 원의 신규 예산을 투입해 AI 학습데이터 구축에 나선다. 이를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특허 검색 및 심사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심사 품질을 한층 더 높일 계획이다.

 

특허 빅데이터 활용 강화에도 힘을 쏟는다. 국가 R&D 특허동향 심층분석을 위해 44억 원의 신규 예산을 배정하고, IP R&D 전략 지원 예산은 전년 대비 19억 원 증가한 387억 원으로 확대했다. 이와 함께 경제안보를 위한 특허 데이터 기반 체계 구축에 32억 원의 신규 예산을 책정했다.

 

지식재산 금융 활성화와 창업·성장 지원을 위한 투자도 확대된다. 혁신형 중소기업이 지식재산을 기반으로 원활히 자금을 조달할 수 있도록 IP 가치평가 지원 예산을 136억 원으로, IP 활용 창업·성장 지원 예산을 113억 원으로 각각 증액했다.

 

수출기업을 대상으로 한 지식재산권 분쟁 대응 역량 강화에도 신규 예산을 배정했다. 해외 IP 위험 대응 전략 지원에 26억 원, AI 기반 위조상품 단속에 7억 원을 새롭게 투입하며, K-브랜드 분쟁대응 지원 예산도 75억 원으로 증액했다. 이를 통해 수출기업들이 해외에서 겪는 지식재산권 분쟁을 사전에 예방하고, 위조상품 유통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도록 지원할 방침이다.

 

특허청은 AI 기반 지능형 특허행정 구축을 통해 신속하고 정확한 심사 서비스를 제공하는 한편, 국가 R&D 기획과 경제안보에 특허 빅데이터 활용을 강화할 계획이다. 이와 함께, 수출기업을 위한 맞춤형 분쟁대응 전략과 K-브랜드 보호를 강화해 글로벌 경쟁력을 높이고, 중소기업의 지식재산 기반 창업과 성장을 돕는 데 주력할 예정이다.

 

출처(원문보러가기) : https://www.e-patentnews.com/1216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