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한 줄 응원

인생은 여행이라고 한다. 우리는 낮선 것들을 경험해 보려고 지구에 왔다. 낯선 것을 접하면서 모르는것을 배우거나 실험해 보면서 그렇게 익숙해지면서 우리는 나도 모르는 자신을 발견하게 된다. 낯선 상황은 새로운 기회를 만들어 주는 창구 역할을 하기도 한다.

Technology

기술과 Solution을 통해 지속적인 발전을 추구합니다.

기술 동향

트럼프 관세에 알루미늄 포장재 값 뛰나 … K-배터리 '예의주시'

관리자 | 2025-05-12 | 조회 10

트럼프 대통령이 모든 수입산 알루미늄에 관세 25%를 부과하기로 결정하면서 K-배터리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알루미늄은 배터리를 감싸는 케이스의 소재로 사용된다. 트럼프 대통령의 관세 조치로 알루미늄 가격이 뛰면 K-배터리는 원가율 상승으로 마진 압박을 받게 된다물론 배터리 케이스가 전체 원가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지만, K-배터리 3LG에너지솔루션·삼성SDI·SK온은 적자인 상태로 원가절감이 절실한 상황이다또한 얇은 알루미늄 필름으로 포장되는 파우치 배터리와 달리 비교적 두꺼운 알루미늄 케이스를 사용하는 원통형, 각형 배터리는 이번 관세 조치로 더 많은 영향을 받을 것으로 우려된다
 

파우치 배터리와 원통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LG에너지솔루션"파우치 배터리에서 알루미늄 필름은 원가율이 1%도 안 된다""원통형 배터리의 알루미늄 캔도 현지화가 잘 돼있기 때문에 영향이 별로 없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두꺼운) 각형 배터리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고 부연했다LG에너지솔루션은 알루미늄 케이스를 미국 현지에서 조달하고 있다

 

파우치 배터리를 생산하는 SK"파우치 배터리의 필름은 알루미늄 단일 소재가 아니라 플라스틱 소재랑 같이 쓰이기기 때문에 HSK 무역코드 분류상 플라스틱류에 속한다""(미국이) 파우치 필름을 알루미늄의 일환으로 볼지, 아니면 플라스틱으로 볼지는 모르기 때문에 세부 가이드라인을 기다리고 있다"고 밝혔다

 

원통형 배터리와 각형 배터리를 생산하는 삼성SDI는 현재 미국 현지에 배터리 셀 공장이 없다. 한국, 유럽 등에서 배터리 셀을 제조해 미국에 완제품 형태로 수출하기 때문에 당장은 알루미늄 관세를 걱정할 필요는 없어 보인다.

 

배터리 업계 관계자는 "각형 배터리의 알루미늄 캔은 전체 원재료 비중이 미비하기 때문에 심각한 상황이 아니다"라고 전했다. 문제는 국내 배터리 기업들의 각형 배터리 비중을 키우고 있다는 점이다김동명 LG에너지솔루션 대표는 올해 신년사에서 "각형의 경우 경쟁사 수준 이상의 제품력과 원가경쟁력을 갖추겠다"며 각형 배터리를 미래 먹거리로 낙점한 상태다

출처(원문보러가기) : https://biz.newdaily.co.kr/site/data/html/2025/02/11/2025021100071.html